본문 바로가기
IT 지식 개발

서버와 네트워크, 프로토콜, OSI 참조모델

by 관리자 2019. 9. 24.

네트워크는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정보가 오고 가는 다리역할을 하는 기술입니다. 모든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데이터)를 제공합니다. 서버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데이터를 제공할 수 없고 클라이언트도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서비스(데이터)를 받을 수 없습니다.

 

네트워크라는 것은 예를 들어 역과 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이나 방송국과 방송국을 연결하는 방송망도 네트워크에 속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회사나 조직에서 사람과 사람과의 연결도 네트워크입니다. 따라서 컴퓨터에 적용하면 컴퓨터와 컴퓨터를 연결하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가리킵니다. 철도노선 네트워크가 승객을 전철에 싣고 나르듯이 방송망 네트워크가 정보를 전파에 싣고 나르듯이 컴퓨터 네트워크는 데이터를 케이블(무선 LAN 경우는 전파)에 실어 나릅니다.

 

그렇다면 컴퓨터 네트워크에는 구체적으로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우리 주변에는 인터넷이 있습니다. 전 세계에 산재해 있는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거대한 컴퓨터 네트워크를 뜻하고 있습니다.  LAN이라는 말도 많이 들어보셨을 텐데요, LAN은 로컬 영역 네트워크의 약자로 기업, 조직 등 처럼 비교적 좁은 범위 안에 존재하는 컴퓨터를 연결하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말합니다. LAN 케이블은 LAN을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이며, LAN 스위치는 LAN을 구성하기 위한 네트워크 기기입니다.

 

그러면 서버가 클라이언트에 대해 어떻게 데이터를 전송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LAN(랜)은 크게 LNA 케이블을 이용해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유선 LAN과 전파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LAN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 중 서버를 연결할 때는 유선 LAN을 사용하는 것이 기본입니다. 무선 LAN은 아직까지는 클라이언트측만을 위한 것입니다.

 

네트워크를 학습할 때는 가장 먼저 이해야할 개념이 OSI 참조 모델 입니다. OSI 참조 모델은 국제표준화기구(ISO)가 컴퓨터 통신 기능을 계층 구조로 나눠 정리한 모델입니다. 통신할 때 규칙의 모음같은 것입니다. 네트워크에서는 이러한 규칙을 프로토콜 이라고 합니다. 웹사이트를 볼 때 URI를 입력하는데 Http 가 바로 프로토콜에 해당합니다. 

HTTP는 HyperText Transfer Protocol 약자로서 웹서버와 웹 클라이언트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때 사용하는 통신 규칙 즉, 통신 프로토콜입니다.

 

OSI 참조 모델에서는 프로토콜을 물리계층(제1계층), 데이터링크(제2계층), 네트워크계층(제3계층), 전송계층(제4계층), 세션계층(제5계층), 표현계층(제6계층), 응용계층(제7계층) 등 7개 계층 구조로 나누고 있습니다. 

각 계층은 전혀 다른 역할을 갖고 있고 따로 작동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계층과 계층이 서로 영향받지 않고, 계층별로 분리된 트러블 슈팅을 할 수 있는 것입니다. 

OSI 참조모델은 많은 프로토콜을 구성하지만 실제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은 극히 일부로서 한정되어 있습니다. 제1계층, 제2계층은 이더넷, 제3계층은 IP, ICMP, ARP, 제4계층은 TCP, UDP, 제5계층부터 제7계층은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을 사용합니다.

 

제 1계층, 제2 계층은 기술파트로서 이더넷, MAC주소가 있고 기기파트로서는 스위치 스위칭이 있스빈다. 제 3계층은 기술파트로 IP, IP주소, ARP가 있고, 기기파트는 라우터, 라우팅이 있습니다. 제 4계층은 기술파트로서 TCP/UDP, 포트번호가 있으며 기기파트는 NAT/NAPT가 있습니다

 

네트워크에는 TCP, 이더넷, IP, HTTP 등 이러한 전문용어들이 나오는데 컴퓨터 통신에 있어서 각기 다른 기능에 대해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규정을 프로토콜이라고 부릅니다. 예를 HTTP는 웹서버와 웹클라이언트 사이의 통신규칙을 규정한 것입니다. 각 프로토콜은 국제표준화기구(ISO)가 고안한 OSI참조모델의 계층 구조 중 하나로 분류됩니다..

 

[OSI 참조 모델]

- 응용계층(제7계층) : 애플리케이션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규정합니다.

- 표현계층(제6계층) :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통신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하는 방법을 규정합니다.

- 세션계층(제5계층) : 데이터를 흘려보내는 논리적인 통신로의 확립과 연결 끊기에 대해 규정합니다.

- 전송계층(제4계층) : 데이터 통신 상대에게 확실하게 전달하는 방법을 규정합니다.

- 네트워크계층(제3계층) : 동일 또는 다른 네트워크 기기와 연결하기 위한 주소, 경로의 선택방법을 규정합니다.

- 데이터링크계층(제3계층) : 직접 연결된 기기 사이에 논리적인 전송로(데이터링크)를 확립하는 방법을 규정합니다.

- 물리계층(제1계층) : 네트워크 케이블의 재질, 커넥터 형식, 핀 나열 방법 등 물리적인 요소를 모두 규정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