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X 계열 서버 OS와 Windows 계열 서버 OS
서버로서 보다 안정적으로 작동시키기위해 개발 및 조정된 OS를 서버 OS'라고 합니다. 서버 OS는 그래픽 처리나 사운드 처리 등과 같이 서비스와 관계없는 기능을 최소한으로 줄이는 한편 여러 가지 관리 기능을 추가하거나 처리를 최적화 함으로써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서버 OS로는 'UNIX 계열 서버 OS'와 'Windows 계열 서버 OS'가 있습니다. 어떤 쪽을 선택할지는 제공할 서비스나 비용, 지원, 운용 스킬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하여 결정합니다.
서버 OS의 원조인 'UNIX'를 표준으로 하여 UNIX처럼 작동하도록 만든 OS를 'UNIX 계열 서버 OS' 라고 합니다. 오픈소스인 'Linux'나 IBM의 AIX' 등이 이 종류의 OS에 해당합니다. UNIX 계열 서버 OS는 마우스를 사용한 입력 조작 (GUI, Graphical User Interface)을 못하는 것은 아니지만 커맨드라인을 사용한 입력 조작(CLI, Command Line Interface)이 기본입니다. CLI는 Windows 계 열 서버 OS에서 제공하는 GUI와 비교하면 직관적이지 않기 때문에 익숙해질 때 까지 시간이 걸립니다. 또한 무료 OS를 선택하면 기본적으로 지원이 없다고 생 각하는 것이 좋기 때문에 트러블이 생길 때 자신의 힘으로 해결하지 않으면 안 됩 니다. 하지만 UNIX와 같은 견고함과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료 OS를 선택하면 라이선스와 관련된 초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클라이언트 OS로서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Windows를 서버용으로 업그레 이드시켜 최적화시킨 것이 'Windows 계열 서버 OS'입니다.
'Windows Server 2008'이나 'Windows Server 2012'가 이 종류의 OS에 해당합니다. Windows 계 열 서버 OS는 Windows 7이나 Windows10과 마찬가지로 유료이므로 UNIX 계열 서버 OS와 비교하면 라이선스에 드는 초기 비용이 올라가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클라이언트용 Windows와 마찬가지로 마우스를 사용한 입력 조작이 기본이므로 직관적으로 조작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개발사인 마이크로소프트에 의한 유료 및 무료 지원도 있으므로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어플라이언스 서버
특정 서비스나 기능만으로 특화시켜 만든 서버를 '어플라이언스 서버'라고 합니 다. 어플라이언스 서버는 도입이 간단하며 운용 관리도 쉽기 때문에 많은 기업에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웹 서버, DNS 서버, 프록시 서버, 방화벽, 로드 밸런서(부하분산 장치) 등 여러 용도로 된 어플라이언스 서버가 나오고 있습니다.
● 간편한 도입 및 운용이 가능 어플라이언스 서버는 OS나 서버 소프트웨어가 인스톨된 상태로 출하되기 때문에 간편히 도입할 수가 있습니다. 또한 설정 마법사나 운용 관리 툴이 마련되어 있어서 그에 따라 항목을 선택하기만 하면 간단히 설정할 수 있습니다. 고장이 났을 때도 기기를 교환하는 것으로 해결되므로 운용도 편리합니다.
●가격 대비 성능비가 좋습니다. 어플라이언스 서버는 범용 서버 소프트웨어에서 불필요한 기능을 없애거나 독자적인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사용함으로써 비용 절감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또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최적의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범용 서버와 비교해서 퍼포먼스가 좋다는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정해진 것 외에는 할 수 없습니다. '간편하게 도입할 수 있고 싸며 퍼포먼스도 좋은' 어플라이언스 서버는 장점만 있을 것 같지만 반드시 그렇지도 않습니다. 어플라이언스 서버는 설정할 수 있는 범위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세세한 설정은 할 수 없습니다. 또한 하드웨어 구성도 정해져 있기 때문에 특정 부품만을 업그레이드할 수도 없으며 소프트웨어 구성도 정해져 있기 때문에 다른 용도의 서버로서 사용할 수도 없습니다.
가상 어플라이언스 서버
서버 가상화의 조류를 타고 새로 등장한 어플라이언스 서버가 물리 서버를 가상 화한 '가상 어플라이언스 서버입니다. 현재 세상에 존재하는 어플라이언스 서버 의 대부분은 기반 OS로서 UNIX 계열 서버 OS나 Windows 계열 서버 OS를 사 용하여 그 위에서 특별히 코딩된 서비스를 작동시키거나 거기서 전용 하드웨어 처리를 호출함으로써 처리의 고속화와 효율화를 꾀하고 있습니다. 가상 어플라이 언스는 기반이 되는 OS나 서비스, 그리고 하드웨어 처리를 모두 가상화 소프트웨 어인 하이퍼바이저에서 수행합니다.
●가상 어플라이언스의 장점 가상 어플라이언스의 장점은 누가 뭐라 해도 설치 공간이 불필요하다는 것입니 다. 지금까지의 어플라이언스 서버는 랙형 서버와 마찬가지로 서버 랙에 탑재하여 설치 공간을 차지했습니다. 가상 어플라이언스는 가상화 소프트웨어 하이퍼 바이저 위에서 하나의 가상 머신으로서 작동하므로 설치 공간을 차지하지 않습니다. 설치 공간은 그대로 비용으로 이어지므로 가상 어플라이언스를 이용하면 설치 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동시에 비용도 줄일 수 있습니다.
●가상 어플라이언스의 단점 가상 어플라이언스의 단점은 '퍼포먼스의 저하입니다. 가상 어플라이언스는 일단 가상화 소프트웨어의 처리를 경유하게 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물리 어플라이언스 서버가 처리의 고속화와 효율화를 위해 사용하고 있는 하드웨어 처리를 소프트웨어 처리로 수행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퍼포먼스의 저하가 눈에 띄게 나타납니 다. 그래서 그냥 무조건 가상 어플라이언스 서버만 사용할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테스트 환경은 가상 어플라이언스 서버로, 실제 환경은 물리 어플라이언스 서버로와 같이 둘을 잘 병행하여 사용하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