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방 전달시스템(OCS: Order Communication System) 처방전달시스템(OCS: Order Communication System)
진료기록의 공유와 의사의 처방처리를 지원하는 시스템으로, 환자 진료와 관련된 진료부 서, 진료지원부서, 병동의 처방전달 및 결과조회 를 연결하는 역할로 1990년대에 청구 기반으로 처음 도입되어 IT 기반 중 업무영향력이 크고 사용 경험이 오래되어 현재 병원급 의료기관의 경우 거의 대다수 도입되어진 시스템입니다.
개원가라 불리는 1인 병원에서는 ‘의무기록’ 관리만 하지만, 보통 업무가 구분되어진 병원에서는 ‘의사 ’의 처방전이 병원내부를 명확하 게 전달되어지고 잘 관리되어지게 하는데 그 중요성이 높겠습니다. 과거에는 각 진료부서에서 의사가 환자를 진 단하고 환자의 정보와 기본진료처방, 투약과 주사, 수술, 처리, 검사, 촬영 등의 처방에 대해 의 사의 처방을 처방전에 수기로 기재하고 처방전 에 의해 처방을 수행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온라인상에서 의사가 직접 입력하고 각 관련 부서에 자동으로 전달되어 업무를 처리하게 됩니다. 즉, 의사가 환자를 진료하는 행위에서 부터 발생한 Order를 제 2의 가공 처리를 하지 않은 상태로 각 관련 부서에서 사용할 수 있게끔 처리하는 System을 말하는 것이며, 의사가 Order한 내용이 각종 수납, 청구, 물자관리, 경영 분석 등 의료 정보의 필수적인 기초자료가 되기 때문에 정확한 Data관리와 신속한 정보 교류는 병원 경영 합리화에 많은 유용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게 됩니다.
또한, 의사가 발생시킨 Order의 내 용은 검사실, 방사선과, 물리치료길, 약국, 주사 실, 기타검사 등 진료지원 부서와 연결되고 이는 또한 수납 (본인, 각종청구)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전송된다. 이로 인하여 환자는 보다 쾌적한 진료 와 진료대기시간 단축을 하며, 병원은 더 많은 환자를 진료하게 돼 효율적인 병원 운영이 가능합니다.
의료영상저장 전달시스템
(PACS: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s System) PACS(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
각종 의료 영상 장비에서 환자를 촬영하여 필 름을 통해 영상판독을 수행하던 것을 의료 영상 장비에서 바로 디지털화 된 영상을 얻어내어 네 트워크를 이용하여 영상을 전송하고, 컴퓨터 화 면을 통해 바로 판독 저장 할 수 있도록 하는 시 스템입니다. 즉, PACS는 의학용 영상 정보의 저장(Archiving), 판독(Diagnosys) 및 검색 (Viewing) 기능 등의 수행을 통합적으로 처리하 는 시스템을 말하며, X 선, CT, MRI, PET, SPECT 등에 의해 촬영된 모든 방사선 검사 결과를 디지털 이미지로 변환, 촬영과 동시에 대용량 기억 장치에 저장시켜 영상의학과 전문가가 모니터를 통해 판독할 수 있도록 해주는 시스템입니다.
PACS의 일반적인 구성요소는 영상 획득부, 영상저장 및 데이터베이스화 영상조회 네 트워크 및 전송과 통신으로 구분하며, DICOM (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 in Medicine) 이라는 국제표준 프로토콜에 의해 전송 메커니즘과 형식이 정의되어 있습니다. DICOM의 규격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며 의료영상 획득기기와 진단방사선 그리고 임상의사들을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접근 조회(Output) 및 활용 할 수 있게 합니다.
현재 각 병원은 PACS를 의료장비로부터 영향 을 디지털형태로 전송 받아 저장관리하고, 조회 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이전에는 대형병원 중심으로 PACS 보급이 급속히 이루어져 2011년 현재 중소 병원 및 거의 모든 대학병원 및 대형병원에서는 필름을 전혀 만들 지 않는 Full PACS 환경에서 진료서비스를 하고 있습니다.
검사 정보시스템 (LIS : Laboratory Information System)
검사실은 다른 분야에 비해 컴퓨터를 초기에 도입한 분야 중 하나로, 컴퓨터는 검체 접수에서 부터 최종 결과 보고서의 작성과 인준에 이르기 까지 모든 과정을 보조하기 위하여 도입되었습니다. 진단검사의학과에서 시행하는 검사는 의심되는 진단의 확진, 치료효과의 관찰, 질병 유무의 조사, 진단된 질병의 예후 평가등 의미 있는 정보를 임상의에게 제공합니다.
검사정보 시스템(LIS)이란 환자에게서 채 취한 검체를 검사하는데 있어 기존의 분석만 자동분석기를 이용하던 Off-Line System방법과는 달리 환자 검체 정보입력, 원심분리, 분석을 위해 자동분석기로의 검체 운반, 분석 및 결과보고 등의 전체적인 처리과정을 담당하는 On-Line System 을 의미하며 1999년에 대한의료정보학회가 우리 나라 종합병원 전수를 조사한 결과 41.5%의 병 원에서 LIS를 도입하여 운영하고 습니다.
일반적으로 OCS의 지원부서 업무의 한 부분으로 인식되기도 하지만 임상병리업무의 복잡성과 각종 검사장비의 인터페이스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LIS를 별도로 분리하여 다루기도 합니다. LIS는 궁극적으로 장비에서 발생하는 검사 결과데이터를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고자 하는 것과 이 결과를 병원 전체에서 조회 하고 활용하는 것이 주요 목적입니다.
오늘날에는 정보 기술의 효과적인 적용의 중요성에 의하여 LIS에 대한 중앙화를 요구하게 되고, 환자 처방, 결과보고, 의사회계를 위한 HIS와의 통합성과 검사실의 생산성을 향상하기 위한 검사시간 단축과 분석의 양질성을 조사하기 위한 정도관리 및 검사관리 통계를 위한 검사실내의 작업의 흐름 관찰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